지구화시대 다문화 시민윤리
지구화시대 다문화 시민윤리
  • 박수영
  • 승인 2018.02.2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출판년월일 : 2018. 02. 20
  • ISBN 979-11-86275-0-74 (93330)
  • 면수 : 139
  • 판매가 : 20,000원
  • 재고 : 有
책소개

한국사회가 공식적으로 ‘다문화 한국사회’를 선언한 지 1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그동안 ‘다문화’는 국가 주도에 의한 정책 영역은 물론이고 학문적, 대중적 담론의 핵심화두로 등장하면서 최근 몇 년 사이 한국사회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 가운데 하나였다. 이른바 ‘다문화정책’이라고 불리는 국가주도 정책이 2006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사회통합을 위한 다양한 차원의 정책 아젠다가 구성·전개되어 왔으며, 그에 따라 정부 각 부처의 ‘다문화 지원 사업’이나 관련 연구 활동도 가파르게 증가·확산되어 왔다. 또한 정부와 지자체의 예산 편성과 사업지원으로 관련 연구 작업의 팽창을 촉진시키기도 하였다. 특히 사회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새로운 현상을 설명하거나 이로 인해 야기되는 사회문화적 대응 방식을 모색하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단순히 양적 성장만이 아니다. 지난 10여 년 동안 연구 작업의 방향성과 주제들이 다변화되면서 질적으로도 성장해왔다.

그러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들이 반드시 긍정적 것만은 아니다. ‘다문화’라는 용어의 낙인화, 역차별 논란 등은 여전히 우리가 성찰해야 하는 주제이다. 지난 10년 동안 가시적인 양적 팽창이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이라는 한국사회의 변화를 적절하게 추동해내거나 한국사회의 다문화 감수성을 높이는 데도 기여해 왔는가에 대해 이견이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다문화시대의 도래에 따른 지난 10년간 한국사회의 변화를 정리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하면서 새로운 사회통합 패러다임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실적 요구라고 할 수 있다.

다문화 사회로의 진전이 가속화되고, 이에 관한 이론적, 실천적 연구물들이 누적되면서 최근 각 학문분야에서는 기존의 성과를 점검하고 평가하는 노력들이 있어 왔다. 양적 성장 못지않은 질적 성장의 필요성에 대한 촉구와 다문화가 지니는 복합적 특성으로 인한 학제 간 연구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새로운 국내외 질서를 이해하고 이에 따른 변화와 과제를 모색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연구방법을 필요로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학문영역을 막론하고 접근방법, 이론과 관점 등에 대한 새로운 연구패러다임에 대한 요구가 거세어지고 있는 것도 이 같은 배경에 기인한다.

이 책은 인문지리학, 정치학, 교육학이라는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지닌 연구자들이 지구화시대 다문화 시민윤리라는 키워드로 국내외 관련 이론적·실천적 논의를 비판적·체계적으로 검토하고 보다 바람직한 ‘공존’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되었다. 그동안 한국사회에서 다문화 관련 저서들은 대부분 다문화사회의 특정문제를 탐구하거나 단편적인 관심사를 다룬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다문화사회의 문제는 복합적인 이슈들이 중첩되어 있다. 이 저서는 다문화사회의 시민 윤리와 교육적 과제를 3명의 전공자가 함께 논의하고 집필함으로써 다문화사회의 문제를 통합적이고 맥락적으로 다루고자 하였다. 이는 지난 10여 년간 한국사회에서 이루어져 온 다문화 담론과 실천을 반성적으로 성찰하는 작업이자 새로운 다문화사회의 비전에 대한 탐색적 과정이기도 하다.

목차

제1장. 초국적 이주 현황과 국내 이주자 분포

1.초국적 이주와 다문화사회로의 전환

2. 아시아 국가들의 초국적 이주

3. 한국의 외국인 이주자 유입 과정

4. 외국인 이주자의 공간 분포와 밀집지역

5. 다문화사회로의 전환과 지원 정책

제2장. 외국인 이주정책의 발전과정과 유형별 특성

1.외국인 이주 정책의 기본성향

2. 외국인 이주정책 모형과 특성

3. 외국인 이주정책의 추진 과정

4. 외국인 이주 유형별 정책

5. 외국인 이주정책의 개선과제

제3장. 외국인 이주자 관련 기관과 지원 활동

1.이주자 지원활동의 주체로서 지역사회

2. 중앙정부의 이주자 관련 기관과 지원 활동

3. 지역의 이주자 관련 기관과 지원활동

4. 안산시 외국인 이주자 지원 활동

5. 외국인 이주자 관련 기관과 지원 활동의 과제

제1부 참고문헌

제4장. 다문화주의의 정당화

1.이론적 논의의 필요성

2. 다문화주의에 관한 찬반논쟁

3. 문화와 정체성

4. 다문화주의의 정당화 논리

5. 논의 진전을 위한 제언

제5장. 다문화시대의 시민권

1.시민권과 다문화적 권리의 모순

2. 시민권과 다문화주의

3. 보편성과 특수성의 아포리아

4. 누가 시민인가: 탐색적 대안

5. 구성원권, 주민권과 한국 사회

제6장. 다문화수용성 제고의 필요성과 방안

1. 다문화수용성의 지체

2. 다문화수용성 제고, 왜 해야 하는가?

3. 다문화수용성 제고, 어떻게 해야 하는가?

4. 다문화수용성과 사회통합

제2부 참고문헌

제7장. 한국사회 다문화교육의 사회적·문화적 배경과 쟁점

1. 다문화교육의 쟁점

2. 한국사회 다문화교육 담론 분석

3. 다문화교육의 정책적 과제

제8장. 국외 다문화교육의 배경과 쟁점

1. 서구 다문화 사회의 분류

2. 외국의 다문화 교육 사례

3. 한국사회에의 시사점

제9장. 지구화 시대 다문화 시민교육 이해와 실제

1.다문화 시민교육의 비전과 목표

2. 다문화 시민 교육 방법과 실행

3. 다문화시민교육의 과제

제3부 참고문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